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하늘이열린다
- 육아휴직사후지급금
- 소상공인카드지원금
- 파이프라인
- 육아휴직
- 정부지원금
- 영어유치원후기
- 인천공항라운지
- 국제학교학비
- 소상공인카드환급금
- 인증중고차
- 육아휴직신청
- 육아휴직급여
- 육아휴직실수령액
- 가전구매지원신청
- 6월축제
- 제주수국명소
- 육아휴직조건
- 건강보험료
- N잡러
- 2025육아휴직
- 한전에너지캐시백
- 디지털노마드
- 국내축제
- 분당영어유치원
- 제주여행
- 경제적자유
- 수국축제
- 국내여행
- 카드환급금
- Today
- Total
하늘이 열린다
육아휴직 6+6 제도, 최대 1년 6개월 2025년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정책! 본문
부모라면 누구나 궁금한 것, **“육아휴직은 얼마나 쓸 수 있을까?”**입니다.
최근 2025년 육아휴직 제도에서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는 바로 6+6 육아휴직 제도입니다.
이 제도는 부부가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정책으로,
혜택을 받기 위해 알아야 할 조건, 금액, 신청방법 등을 이번 글에서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✅ 육아휴직 6+6 제도란?
생후 18개월 이내의 자녀를 둔 부모가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,
기본 1년의 육아휴직 외에 추가로 6개월을 더 사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즉, 최대 1년 6개월까지 육아휴직 사용 가능!
📌 단,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해요.
- 두 사람 모두 각각 최소 3개월 이상 휴직해야 함
- 한부모 가정 또는 장애아 양육자도 해당
- 동일 자녀에 한해 적용
💸 육아휴직 급여: 부모 동시 사용 시 최대 월 450만 원까지
6+6 육아휴직 제도를 활용하면 월별 상환액은 아래 표와 같이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세요.
첫 달 | 250만 원 |
둘째 달 | 250만 원 |
셋째 달 | 300만 원 |
넷째 달 | 350만 원 |
다섯째 달 | 400만 원 |
여섯째 달 | 450만 원 |
7개월부터는 일반 육아휴직 급여와 동일하게 **상한 월 170만 원(통상임금의 80%)**이 적용됩니다.
육아 휴직을 부부가 동시에 겹치게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,
처음 육아 휴직을 사용하는 부모는 일반 육아휴직으로 사용하고,
차액은 두번째 육아휴직 신청 부모의 급여가 들어올 때에 함께 들어온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.
일반 육아휴직 제도가 궁금하시면 아래글을 참고해주세요.
https://yhmcsl1003.tistory.com/80
2025 육아휴직 급여 얼마나 받을까? 실수령액부터 신청 팁까지!
육아휴직을 앞두고 있다면 가장 먼저 궁금한 것이 ‘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’일 겁니다.2025년 기준 육아휴직 급여 정책은 대폭 강화되며 많은 부모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체감할 수 있게 되었는
yhmcsl1003.tistory.com
❌ 육아휴직 사후지급 폐지
과거에는 육아휴직 급여의 25%를 복직 후 일괄 지급했지만,
2025년부터는 사후지급 제도가 폐지되어, 육아휴직 중 매월 100% 지급됩니다.
복직 여부와 무관하게 급여가 지급되므로,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어든 것이 장점이에요.
🧾 부모 동시 육아휴직, 어떻게 활용할까?
많은 분들이 **“부부합산 최대 금액이냐?”**고 묻지만,
👉 각자 따로 받는 금액입니다.
즉, 부모가 각각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각자 최대 450만 원까지 지급받을 수 있어요.
또한, 첫 번째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부모가 급여를 다 받은 뒤
두 번째 부모가 이어받아도 동일한 조건으로 적용되기 때문에
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.
육아휴직신청 사이트 필요하시면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해보세요.
✅ 육아휴직 신청 바로가기
👉 🔗 https://www.work24.go.kr
아직까지 자영업자나 프리랜서와 같은 분들은 실질적으로 육아휴직 제도의 보장을 받기가 어려운 실정인데요.
제도적으로 아이키우기 좋은 제도들이 잘 나와서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나라가 되면 좋겠습니다.
'정보 및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내일채움공제 3년형 완벽 가이드 │ 가입조건·지원금·신청방법 한눈에! (0) | 2025.07.06 |
---|---|
출국납부금 환급 신청 방법 총정리 (대상, 금액, 신청링크 포함) (2) | 2025.07.05 |
2025 육아휴직 급여 얼마나 받을까? 실수령액부터 신청 팁까지! (2) | 2025.07.03 |
퇴사 후 건강보험료 얼마나 나올까? 직장가입자 → 지역가입자 전환 후 꼭 알아야 할 정보! (1) | 2025.06.30 |
2025년 건강보험료, 2년 연속 ‘동결’! 실수령액은 어떻게 될까? (0) | 2025.06.29 |